기본 중의 기본 이동평균선 제대로 활용하기
여러가지 지표가 있지만, 가장 기본적이면서 신뢰할 수 있는 지표는 이동평균선(Moving Average)입니다. 이동평균선은 기간별 평균 주가를 계산해서 선으로 이은 간단한 지표입니다. 장점 주가의 추세를 쉽게 알 수 있다 다른 지표보다 신뢰성이 높다 단점 과거의 가격으로 만든 후행성 지표 급등락하는 종목에 대해서는 적용하기 어려움 보통 5일
여러가지 지표가 있지만, 가장 기본적이면서 신뢰할 수 있는 지표는 이동평균선(Moving Average)입니다. 이동평균선은 기간별 평균 주가를 계산해서 선으로 이은 간단한 지표입니다. 장점 주가의 추세를 쉽게 알 수 있다 다른 지표보다 신뢰성이 높다 단점 과거의 가격으로 만든 후행성 지표 급등락하는 종목에 대해서는 적용하기 어려움 보통 5일
요즘 많은 분들이 자산배분에 관심을 가지고 있습니다. 영구 포트폴리오나 올웨더 포트폴리오 같은 정적자산배분으로 시작하시는 분들이 많은데요. 하락장에서는 시장에 더 빠르게 반응하는 동적자산배분이 유리합니다. 동적자산배분의 종류에는 듀얼 모멘텀, BAA, VAA, DAA 등이 있습니다. 그렇다면 동적자산배분의 단점은 뭐가 있을까요? 많은 분들이 우려하시는 부
파인스크립트 왕초보 강의를 시작하기에 앞서, 프로그래밍이 처음이신 분들을 위해 프로그래밍이라는 것에 대해 간단히 설명드리겠습니다. 컴퓨터라는 건 일종의 계산기입니다. 계산을 담당하는 장치(CPU)를 중심으로, 계산할 값을 입력받는 입력 장치(키보드, 마우스 등), 계산 결과를 저장하는 기억 장치(RAM, 하드디스크 등), 그리고 계산 결과를 출력할 출력장치
요즘 여러 책과 유튜브를 보면서 퀀트 투자, 자산배분, 시스템 트레이딩에 심취해 있습니다. 11월에 한국 가치성장 소형주를 뽑아서 들어갔는데 현재까지 수익이 나쁘지 않고, 장도 살아나는 분위기입니다. 아내가 잔고를 보더니 어떻게 종목을 골랐냐며 궁금해해서, 제가 공부한 내용들도 정리할 겸 퀀트 투자 기본에 대해서 정리해봤습니다. 왜 퀀트 투자인가? 투자에
나를 퀀트 투자에 입문하게 해준 할투 강환국 님과 systrader79 님의 자료를 검색하다가 대박 자료를 하나 찾았습니다. 두 분의 유튜브와 블로그에는 투자 자료가 참 방대하다보니, 필요한 내용을 찾아보는데 꽤 어렵습니다. 이걸 정리 및 요약해서 PDF 전자책으로 받을 수 있다고 합니다. 총 3개입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링크를 참고하세요. 강환국
최근에 파이썬으로 변동성 돌파 전략을 응용한 자동 매매 봇을 만들었습니다. 업비트 API로 웹소켓을 연결하고 실시간 데이터를 받고 정해진 전략에 따라 매매하는 구조입니다. 테스트겸 며칠 돌렸는데 요즘 장이 안좋아서 큰 재미는 보지 못했습니다. 파이썬은 몇번 쓱 보긴 했지만 개발에는 처음 사용해봤는데, 참 쉬우면서도 재미있는 언어였습니다. 덕분에 오랜만에 즐
현재 할투를 보고 공부해서 미국 시장은 BAA-G4, 변형 듀얼 모멘텀, 채권 동적자산배분 총 3가지 전략을 사용 중이다. BAA 중에서는 가장 공격적이면서도 빠르게 수비로 전환할 수 있는 BAA-G4, 공격력이 뛰어나고 좀 더 느리게 반응하는 듀얼 모멘텀, 그리고 수비적인 채권 동적자산배분까지 균형있게 짜인 혼합 포트폴리오다. 10월에는 세 가지 전략 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