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인의 포트폴리오
시작부터 연이율 8%로 30년 동안 투자하면 누구나 부자가 될 수 있다며 '복리의 힘’에 대해서 이야기하는 걸 보고, 너무나 뻔한 책이라고 생각했다. 연이율 8%로 30년 동안 꾸준하게 수익을 내는 것은 쉬운 일이 절대 아니다. 하지만 이 책은 ETF와 자산분배를 이용하면 가능하다고 말하고 있다. 따라만 하면 수익이 난다… 자본주의 사회에서 이런 투자도
시작부터 연이율 8%로 30년 동안 투자하면 누구나 부자가 될 수 있다며 '복리의 힘’에 대해서 이야기하는 걸 보고, 너무나 뻔한 책이라고 생각했다. 연이율 8%로 30년 동안 꾸준하게 수익을 내는 것은 쉬운 일이 절대 아니다. 하지만 이 책은 ETF와 자산분배를 이용하면 가능하다고 말하고 있다. 따라만 하면 수익이 난다… 자본주의 사회에서 이런 투자도
사람들은 가끔 돈으로 미친 짓을 한다. 하지만 미친 사람은 아무도 없다. 작년에 재밌게 읽었던 책인데 <이웃집 백만장자>를 읽고 생각이 나서 다시 읽었다. <돈의 심리학>이라는 제목만 보면 돈에 관련해서 여러 심리학 용어와 심리학 실험 결과로 가득할 것 같지만, 그런 과학 교양 서적은 전혀 아니다. 그렇다고 투자 노하우나 기술을
어릴 적부터 '게으름은 죄’라고 배웠다. 그래서 다른 사람들의 시선에 신경을 쓰면서 더 부지런히 살려고 노력했다. 하지만 나는 사실 꽤나 미루기를 좋아하는 사람이다. 항상 쉬지 않고 무언가를 하고 있지만, 그건 정작 해야할 일을 미루기 위한 도피일 때가 많다. 육아 일기를 써야하는데, 하면서 책 리뷰를 쓰고 있는 지금처럼 말이다. 아니면 그 일이 성공하거
한때 유행했던 <더 시크릿>을 기억하는가. <더 시크릿>은 생각이 현실로 이루어진다는 자기개발서로 전세계적인 인기를 얻었다. 수세기 동안 단 1%만이 알았던 부의 성공과 비밀이라는 말에 나 또한 홀린 듯 밤새 이 책을 읽었고 ‘끌어당김의 법칙’을 믿었다. 하지만 조금 생각해보면 허무맹랑한 내용이 아닐 수 없다. 핵심은 이루고 싶은 것
나의 본체는 어디일까. 우리의 본질이 기록되어 있는 유전자? 종족 번식이라는 과제를 위한 생식기? 또는 다른 이를 사랑할 수 있는 마음이나 물질 그 이상의 세계를 향하는 영혼이라고 생각해볼 수도 있다. 뇌는 전지적 관찰자 시점으로 스스로를 관찰할 수 있고, 이를 의식이라고 한다. 따라서 ‘나’라고 하는 것은 곧 ‘뇌’고, 뇌 과학에서 말하는 나의 본체는
토머스 스탠리 박사는 <백만장자 불변의 법칙>이라는 책에서 ‘이웃집 백만장자(The Millionaire Next Door)’라는 개념을 내놓았다. 성공한 기업의 창업가나 재태크의 귀재들만 있는게 아니라, 보기엔 평범해 보이지만 우리 곁에도, 우리 이웃집에도 백만장자가 있다는 것이다. 이후 20년이 지난 지금에도 이 개념이 적용될까? 부의 양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