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중력을 유지하는 뽀모도로 테크닉
제가 최대 관심사 중 하나는 바로 집중력입니다. 주어진 시간은 한정적이고 나의 체력과 주의 또한 한정적이기 때문에, 이를 '어떻게 효율적으로 사용할 것인가’를 중요하게 생각합니다. 어영부영 하루를 보내고 잠자리에 누워서 오늘 하루 뭘 한지도 모른 채 후회 속에서 잠이 들기엔 하루가 너무 아까우니까요. 잦은 휴식을 이용한 체력/집중력 유지 누구나 집중력을 높
제가 최대 관심사 중 하나는 바로 집중력입니다. 주어진 시간은 한정적이고 나의 체력과 주의 또한 한정적이기 때문에, 이를 '어떻게 효율적으로 사용할 것인가’를 중요하게 생각합니다. 어영부영 하루를 보내고 잠자리에 누워서 오늘 하루 뭘 한지도 모른 채 후회 속에서 잠이 들기엔 하루가 너무 아까우니까요. 잦은 휴식을 이용한 체력/집중력 유지 누구나 집중력을 높
급하게 Linux 서버에 JDK 를 설치할 일이 생겼습니다. CentOS 에서는 JDK를 어떻게 설치하고 버전을 관리하는지 살펴보겠습니다. 설치 파일 다운로드 JDK 다운로드 페이지 에서 리눅스 버전용 JDK를 다운로드 받을 수 있습니다. 32비트, 64비트를 확인해서 받으신 후 WinSCP 같은 FTP 툴을 이용해서 옮깁니다. 다른 방법으로는 웹 상의 파
하나 혹은 여러 클래스가 어떤 클래스의 상태 변화에 따라 동작해야하는 경우를 생각해봅시다. 예를 하나 들어보겠습니다. 제가 요즘 재밌게 보고 있는 페이지 중 ‘책 끝을 접다’ 라는 페이지가 있습니다. 책 소개해주는 페이지인데 흥미진진하게 소개를 해줘서 책을 사고 싶게 만드는 걸로 유명합니다. 저는 이 페이지에 신규 컨텐츠가 등록되었는지 종종 들어가서 확인해
StringBuilder 또는 StringBuffer 를 사용하다보면 중간 중간에 공백(문자)을 넣어야하는 경우에는 귀찮고 가독성도 떨어지는 면이 있습니다. 혹시나 하고 봤더니 Java 8 에 추가된 StringJoiner 라는 클래스가 있더라구요. 쓸만한 것 같아서 소개드립니다. StringJoiner 는 여러 문자들을 연결할 때 붙일 구분자(delimi
StringBuilder / StringBuffer / + 연산자 / concat 메소드 Java 에서 문자열을 연결해 붙일 때 비슷한 역할을 하는 StringBuffer, StringBuilder, + 연산자, concat 메소드가 어떤 점이 다른지 비교해보겠습니다. String.concat() Spring 클래스에는 문자열을 이어주는 concat 메소드
macOS 는 유닉스 기반의 OS 로 개발을 하다보면 터미널을 많이 사용하기 마련인데 기본으로 제공되는 터미널은 너무 빈약합니다. PuTTY 같은 다른 터미널 클라이언트를 사용했던 분들이라면 더더욱 그럴거구요. 기본적인 색깔 구분도 안되서 사용이 쉽지 않았습니다. iTerm2 + zsh + oh my zsh 터미널 관련 라이브러리들을 찾다보니 zsh 라는
이번 포스팅에서는 Vert.x 에서 Blocking 코드를 어떻게 처리하는지 확인해보겠습니다. Thread Blocking Warning Vert.x 는 single thread 모델로 하나의 thread(event loop)에서 모든 API 가 Non-blocking 으로 처리됩니다. 물론 Node.js 와 달리 event loop 를 여러 개 띄울 수
회사에서 Vertx. 라는 프레임워크를 다루게 되었습니다. 처음 접할 때 이해하는게 쉽지 않았는데, 알면 알수록 상당히 유용한 프레임워크입니다. Vert.x 에 대해서는 조만간 개념 정리해서 따로 올리도록 하겠습니다. 오늘 포스팅에서는 Verticle 을 여러 개 배포하는 법을 살펴보겠습니다. Vert.x 프로젝트를 shadowJar 를 이용해 jar 파
오랜만에 Hexo 프레임워크를 보니까 실행이 되질 않더군요. npm update, npm install, npm rebuild 다 실행해보고, npm outdated 로 최신 버전이 아닌 모듈들을 삭제 후 재설치까지 다 해봤는데 안되더군요. 원인은 Node.js 의 버전이 버전이 맞지 않는 것이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Node.js 의 버전을 최신 버전
알고리즘을 풀거나 프로그래밍 면접을 할 때 빅 오 분석법 (Big-O Analysis) 은 유용합니다. 빅 오 분석법은 입력 값의 개수에 따라서 알고리즘의 성능을 분석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을 통해서 간단하게 알고리즘의 성능을 따져볼 수 있습니다. 주어진 배열 내에서 최대값을 찾는 두 알고리즘을 예로 들어보겠습니다. 첫번째 알고리즘 compareToMa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