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g: basics

도커 Docker 기초 확실히 다지기

이전 개발자를 위한 인프라 기초 총정리 포스트에서 컨테이너와 도커에 대해 간단히 살펴봤습니다. 이해하기 어려운 개념은 아니지만 막상 뭔가를 하려면 막막할 수 있는데요, 이번 포스트에서는 도커의 컴포넌트와 내부 기술을 알아보고 가상 환경을 구축해서 도커를 설치하고 실행해보려고 합니다. 도커 Docker 애플리케이션은 하드웨어, OS, 미들웨어 등 인프라 환경

개발자를 위한 인프라 기초 총정리

최근 클라우드 관련 부서로 옮겨 클라우드 관련 업무를 맡게 되었습니다. 그동안 개발은 했어도 인프라 지식은 많지 않은 상황에서 업무를 하다보니 어려운 부분이 있어 인프라 기초를 정리해봅니다. IT Infrastructure IT 인프라란 애플리케이션을 가동시키기 위해 필요한 하드웨어나 OS, 미들웨어, 네트워크 등 시스템의 기반을 말합니다. 시스템의 요구사

Java 스트림 Stream (1) 총정리

이번 포스트에서는 Java 8의 스트림(Stream)을 살펴봅니다. 총 두 개의 포스트로, 기본적인 내용을 총정리하는 이번 포스트와 좀 더 고급 내용을 다루는 다음 포스트로 나뉘어져 있습니다. Java 스트림 Stream (1) 총정리 Java 스트림 Stream (2) 고급 살펴볼 내용 이번 포스트에서 다루는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아는 내용

Java Lambda (1) 기본

이번 포스트부터 Java 8 에서 새로 도입된 람다(Lambda)와 Java 9 의 모듈 프로그래밍까지 쭉 다뤄보려고 합니다. 사실 람다도 몇 번 사용해보면 쉽게 익숙해질 수 있는 기술이지만, 내부적인 동작 원리까지 알아보려고 합니다. Lambda 람다 대수는 1930년대 알론조 처치Alonzo Church가 소개한 함수의 수학적 표기 방식입니다. 람대 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