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WS 보안 모범 사례 백서 (번역/요약)
이 포스트는 AWS 자격증 스터디에서 AWS Security Best Practies 백서(2016/08)를 한글로 번역 및 요약한 자료입니다. 해당 포스트는 계속해서 업데이트 됩니다. 마지막 업데이트 : 2018/07/12 AWS를 사용하면 ISO 27001표준 ISMS(Information Security Managment System)를 쉽게 구축할
이 포스트는 AWS 자격증 스터디에서 AWS Security Best Practies 백서(2016/08)를 한글로 번역 및 요약한 자료입니다. 해당 포스트는 계속해서 업데이트 됩니다. 마지막 업데이트 : 2018/07/12 AWS를 사용하면 ISO 27001표준 ISMS(Information Security Managment System)를 쉽게 구축할
지난 포스트에서는 HTTPS 를 왜 사용하는지, 어떤 원리로 동작하는지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Hexo 블로그에 HTTPS 를 적용해보겠습니다. Hexo 블로그는 generate 한 후에 나오는 public 폴더만 있으면 어디든 호스팅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여러가지 서비스와 연동해 사용할 수 있는데, 가장 많이 사용하는 것이 GitHub
Hexo 블로그에 HTTPS 적용하는 포스트를 작성하려다가 보니 먼저 HTTPS를 정리하는게 좋을 것 같습니다. 이번 포스트에서는 HTTPS의 원리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HTTPS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 은 HTML 을 주고받을 때 서로 지키기로 정한 규칙입니다. 그리고 HTTPS(HTTP Secure) 는 HTTP
이전 포스트에서 Hexo 내 폰트를 CDN 을 이용해 변경했습니다. 구글 폰트에서 제공하는 폰트 url 만 있으면 블로그 <header> 에 바로 포함시켜 쉽게 변경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내가 사용하고자 하는 폰트가 없다면 어떻게 할까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웹에서 사용하는 폰트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고 무료 폰트인 '미생체’를 이용해서 CDN 없
종종 외국의 프리웨어 프로그램을 사용하다보면, '마음에 들면 커피 한 잔 사줘’라는 메시지를 종종 보곤 합니다. 아무래도 개발자들이 커피를 달고 사는 직업이다 보니, 후원 메시지를 커피 한 잔 사달라고 표현한 것입니다. 오픈소스 SW 라이선스 종류 중에는 '맘대로 쓰고 맥주 한잔 사줘라’라는 뜻의 Beerware 도 있죠. 커피 한 잔 사주세요 이런 문화를
개발자들 사이에서 서버리스 아키텍쳐에 대해 이야기가 많이 나오면서 서버리스 컴퓨팅을 손쉽게 제공하는 AWS에도 관심이 많습니다. 저도 서버리스가 궁금해서 AWS에 가입을 하고 공부를 해봤습니다. 처음에는 새로운 개념도 많고 서비스도 많아서 복잡해보였는데 알면 알수록 재밌습니다. 사용자가 다양한 옵션을 간편하게 설정할 수 있고, 입문자가 쉽게 적응할 수 있도
개발 블로그를 하다보면 클래스 다이어그램같은 UML 을 올려야할 때가 있습니다. 그러면 GUI 툴을 이용해서 그려야 하는데, 자주 그리는 사람이 아닌 이상 복사해서 수정할 포맷도 없고 일일이 그리는 것은 상당히 귀찮습니다. 개발 시에도 사용 가능하고 Hexo 쉽게 적용할 수 있는 툴은 없을까 찾다가 PlantUML 이라는 툴을 찾았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저는 SNS를 많이 하지 않습니다. 사진을 잘 찍지 않으니 인스타도 안하고, 할 이야기가 있으면 페북 대신 블로그나 미디엄을 이용합니다. 그나마 하는 것이 트위터입니다. 가끔은 뉴스보다 더 빠르게 소식이 올라오기도 하고, 짧고 재미있는 읽을 거리가 많아서 종종 들어갑니다. 트위터는 정적인 블로그와 달리 콘텐츠의 전파 및 소비의 속도가 굉장히 빠릅니다. 그래
블로그 서비스인 Medium 은 글을 읽을 때 소요될 시간을 미리 표시해줍니다. 독자들이 이 글을 읽는데 얼마나 소요될지를 미리 파악함으로써, 글의 질을 예측해볼 수 있고 이 글을 계속 읽을지 말지를 결정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소소하지만 탐나는 기능이었습니다. Hexo 블로그에는 이런 기능이 없나 살펴봤더니 역시나 있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글자 수와
개발 블로그를 하다보면 터미널 작업을 업로드해야 할 때가 종종 있습니다. 커맨드를 실행하면 많은 작업이 스쳐 지나가지만 보통 블로그에 올리는 것은 실행할 커맨드나 실행된 결과 화면 뿐입니다. 그래서 블로그를 참고해서 작업을 진행할 때는 이게 제대로 동작하는 것인지, 발생한 오류가 그냥 넘어가도 될만한 것인지 확인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습니다. 대신 처음부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