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g: kubernetes

GPT 스토어에서 나만의 GPT를 만들기 (feat. KubePilot)

얼마전에 오픈한 GPT 스토어에 대한 관심이 뜨겁습니다. 아직 수익창출은 할 수 없지만, 1분기에 미국부터 시작해 수익창출이 가능해진다고 해서 제2의 앱스토어가 될 것이라고 합니다. 누구나 손쉽게 GPT를 만들 수 있다보니 벌써부터 많은 GPT들이 생성되어 업로드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ChatGPT 유료 사용자만 사용할 수 있다보니 수요에 비해 공급이 많은

Git과 CronJob을 활용한 쿠버네티스 오브젝트 YAML 자동 백업

쿠버네티스(Kubernetes)에서 시시각각으로 변하는 오브젝트의 상태를 저장하고 관리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가장 먼저 생각할 수 있는 방법은 YAML 파일로 export 해서 저장하는 것입니다. 12# e.g. kube-system Namespace 의 모든 Pod 을 YAML 형태로 출력하기kubectl get po -n kube-system -o

개발자를 위한 쿠버네티스(Kubernetes) 클러스터 구성하기(Kubeadm, GCE, CentOS)

이제 개발자가 컨테이너 기반으로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면서 도커(Docker)를 많이 사용합니다. 그리고 이러한 컨테이너를 쉽게 관리하고 테스트할 쿠버네티스(Kubernetes) 환경이 필요한 경우가 생기게 됩니다. 쿠버네티스 클러스터 중 가장 쉽게 접할 수 있는 건 Minikube 입니다. 하지만 Minikube 는 Master 하나로 이루어져 있어 부족한

스프링 부트 컨테이너와 CI/CD 환경 구성하기

이번 포스트에서는 간단한 스프링 부트(Spring Boot) 애플리케이션을 만들고 컨테이너화(Containerize)하는 방법을 알아봅니다. 그리고 다양한 툴을 이용해 도커 이미지를 지속적으로 빌드하고 배포할 수 있는 CI/CD 환경을 구성하고 쿠버네티스(Kubernetes) 클러스터에 배포하는 과정을 살펴봅니다. 살펴볼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컨테이너

개발자를 위한 인프라 기초 총정리

최근 클라우드 관련 부서로 옮겨 클라우드 관련 업무를 맡게 되었습니다. 그동안 개발은 했어도 인프라 지식은 많지 않은 상황에서 업무를 하다보니 어려운 부분이 있어 인프라 기초를 정리해봅니다. IT Infrastructure IT 인프라란 애플리케이션을 가동시키기 위해 필요한 하드웨어나 OS, 미들웨어, 네트워크 등 시스템의 기반을 말합니다. 시스템의 요구사

구글 클라우드 서밋 서울 2018 후기

구글 클라우드 서밋(Google Cloud Summit)은 구글이 우리나라에서 처음으로 진행하는 대규모 클라우드 공식 행사입니다. 지난 번 AWS Summit 2018 Seoul 에서는 AWSome Day 교육에 참가하느라 다양한 세션을 듣지 못해서 이번 행사에 기대가 컸는데요. 구글이 아마존을 따라잡기 위해 어떤 전략을 쓰고 있을지도 궁금했습니다. 저는

마이크로서비스 Microservices (6) 배포 전략

마이크로서비스 배포 전략 모놀리식 애플리케이션은 통째로 배포되기 때문에 애플리케이션 복사본을 여러 개 실행하는 형식으로 배포합니다. 따라서 N개의 서버에 M개의 애플리케이션 인스턴스가 실행됩니다. 마이크로서비스 배포에 비하면 단순하죠. 마이크로서비스 애플리케이션은 수십에서 수백 개의 서비스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각 서비스는 다양한 언어와 프레임워크로 만들어